분류 전체보기
-
tracert, traceroute란? (사용 방법과 목적)Linux 2023. 4. 18. 10:32
tracert 또는 traceroute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진단 도구입니다. ping이 단순히 목적지 IP 주소의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수준이라면, traceroute는 패킷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길목 하나하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tracert / traceroute tracert와 traceroute는 같은 기능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윈도우에서는 CMD를 통해 tracert로, 리눅스와 맥에서는 터미널을 통해 traceroute로 사용합니다. traceroute라는 단어가 경로를 추적한다는 의미를 더 명확하게 드러내는 것 같으니, 여기부턴 traceroute로 표현하겠습니다. traceroute는 ping과 마찬가지로 목적지에 ICMP(Inte..
-
Linux - 리눅스 디렉터리 종류와 특징Linux 2022. 11. 30. 16:45
/ : 최상위에 있는 디렉토리로 부트 디렉토리라고 한다. /bin : 기본 실행 파일들, 즉 사용자 명령어들이 들어 있다. /boot : 시스템 부팅시 필요한 파일들이 들어 있다. /dev : 플로피, 하드디스크, CD-ROM 드라이버 등의 각종 장치 파일들을 모아 놓은 곳이다. /etc : 시스템 관리시 필요한 스크립트 파일들과 설정 파일들이 들어 있다. /home :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계정의 홈 디렉토리가 위치한다. 예) linuxer라는 계정으로 로그인할 경우 이 계정의 홈 디렉토리는 /home/linuxer이다. /lib : 각종 라이브러리가 저장되는 디렉토리로 커널 모듈도 이곳에 있다. /lost+found : ext2 및 ex3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 시스템 복구를 위한 디렉..
-
리눅스 파일종류Linux 2022. 11. 23. 16:26
파일의 구조 일반 파일(Regualr File) 디렉토리 파일(Directory File) 링크 파일(Link File) -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 # ln -s file1 file2 - 하드 링크(Hard Link) # ln file1 file2 장치 파일(Device File) - 블럭 장치 파일(Block Device File) - 캐릭터 장치 파일(Character Device File) 소켓 파일(Socket File) 도어 파일(Door File) 파이프 파일(Pipe File) 파일과 디렉토리의 내용들을 다루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기본적인 명령어에 익숙해져야 한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파일의 구조(File Structure) 파일이름, Inode (Index Node)와 데이터..
-
SW/리눅스Linux : Shutdown 종료하는 방법, 예제, 명령어Linux 2022. 11. 23. 11:46
셧다운 명령을 실행하면 시스템이 안전하게 중단됩니다. 종료가 시작되면 로그인한 모든 사용자와 프로세스가 시스템이 중단됨을 알리며, 추가 로그인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시스템을 즉시 또는 지정된 시간에 종료할 수 있습니다. 종료 명령 구문 shutdown 명령어 사용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 전에 먼저 기본 구문을 살펴보겠습니다. 종료 명령 표현식은 다음과 같은 형식을 취합니다. shutdown [OPTIONS] [TIME] [MESSAGE] option - 중지, 전원 끄기(기본 옵션) 또는 시스템 재부팅 등의 옵션을 종료합니다 time - 시간 인수는 종료 프로세스를 수행할 시기를 지정합니다. message - 메시지 인수는 모든 사용자에게 브로드캐스트할 메시지를 지정합니다. 지정된 시간에 시스템을 종료 방..
-
-
이슬림 서버 바이오스 셋팅 (P장비)Server 2022. 11. 15. 12:39
이슬림 서버 바이오스 셋팅 (P장비) 공부해보겠습니다. Platform Configuration (플랫폼 구성 인터페이스) 1. PCH Configuration (칩셋 관련 구성) --> PCH SATA Configuration (PHC SATA 구성) --> SATA Controller [Disable],sSATA Controller[Disable] PCH란? PCH는 Platform Controller Hub의 약자로 이전에 메인보드에서 노스브릿지와 사우스브릿지로 나뉘어있던 컨트롤러 칩셋을 하나로 합친 것입니다. PCH는 기존의 노스브릿지와 사우스브릿지 칩셋의 시스템에서 CPU와 메인보드 사이의 병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CPU가 직접 제어하는 메모리 사용과 그래픽카드 이외의 장치(키..
-
-
리눅스(Linux) lsblk 명령어Linux 2022. 11. 8. 11:03
lsblk lsblk 명령어는 블럭 장치 목록을 마운트 되지 않은 블럭 장치 포함해서 보여주는 명령어 입니다. lsblk 명령어 사용법 lsblk 명령어를 사용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블럭 장치의 목록이 출력 됩니다. 예시) lsblk -t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토폴로지(topology) 정보도 포함되어 표시됩니다. 예시) lsblk -l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포멧한 디스크 목록을 출력합니다. 예시) 간단히 lsblk 명령어를 알아보았습니다. 디스크 추가할때 유용하게 쓰이는 명령어 입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https://bookfriend.tistory.com/entry/%EB%A6%AC%EB%88%85%EC%8A%A4Linux-lsblk-%EB%AA%85%EB%A0%B9..
-
Dmidecode 명령어로 하드웨어 정보 보기 !Server 2022. 11. 4. 11:31
Dmidecode 명령어로 하드웨어 정보 보기 ! 하드웨어 정보가 필요한 상황이야 여러가지로 많으니 어떻게 확인하는지 알아보자 ~ Dmidecode 도구는 DMI (일부는 SMBIOS라고도 함) 테이블을 읽어 데이터를 가져오고 하드웨어 세부 정보, 일련 번호 및 BIOS 버전, 프로세서 등과 같은 유용한 시스템 정보를 사람이 읽을 수있는 형식으로 표시합니다. dmidecode 명령을 실행하려면 루트 권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1. Demidecode의 기본 출력 아래는 Demidecode 명령 샘플 출력입니다. # dmidecode 2.11 SMBIOS version fixup (2.31 -> 2.3). SMBIOS 2.3 present. 45 structures occupying 1642 bytes...
-
Object Storage란용어정리 2022. 10. 31. 11:12
오늘날 인터넷 트래픽에서 오고 가는 데이터는 비정형 데이터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력서 양식에 맞추어서 입력하는 신상 정보를 정형 데이터라 한다면, 비정형 데이터는 사진이나 자기 PR 텍스트, 첨부 동영상과 같이 규격 외의 데이터를 말합니다. 불과 200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비정형 데이터는 전체 데이터의 31%에 불과했으나1, 시장조사기관인 IDC에 의하면 2025년까지는 전체 데이터의 8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이러한 대규모의 비정형 데이터는 클라우드 기술과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분석 기술의 보편화로 그 쓰임새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기존에 전통적인 스토리지를 운영하는 기업들은 이러한 비정형 데이터를 쉽게 저장하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스토리지 아키텍처가 필요하..
-
DAS,NAS,SAN 란?용어정리 2022. 10. 27. 15:52
스토리지(Storage)란?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이다.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이며, 스토리지를 직접 서버에 연결 할 수 있음.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별도의 스토리지용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음. DAS / NAS / SAN 란? 다스 / 나스 / 산스 란 스토리지의 종류이고, 연결방식의 차이이다. 각 스토리지는 어떻게 연결되는지, 어떤방식의 차이인지 알아보자. DAS 와 NAS 는 하드디스크를 여러개 장착가능한 데이터 스토리지이며, DAS는 유선으로 외장하드처럼, NAS 는 와이파이나 랜으로 무선의 클라우드처럼 사용된다. DAS (like외장하드) Direct Attachted Storage PC나 서버에 다이렉트로 꽂아서(usb처..
-
[VPN] SSL VPN과 IPsec VPN의 차이용어정리 2022. 10. 27. 10:29
[VPN] SSL VPN과 IPsec VPN의 차이 VPN은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로 말 그대로 가상 사설 네트워크입니다. 쉽게 보면 집에서 사내 업무망에 접속하고 싶은데 집에서의 네트워크와 회사의 네트워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연결할 수 없는데요 이를 집에 있는 PC가 회사에 연결된것 처럼 네트워크를 변경하여 집에서도 회사망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처럼 다른 네트워크로 변경되기 때문에 IP를 우회하여 특정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할 수 있는데, 이는 본인의 위치를 속이는 것이므로 해킹으로 오해받아 잘못하면 법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다시 원문을 돌아오자면, 위에서 설명한 VPN은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SSL VPN과 IPsec VPN으로 나..